파이썬(Python) 변수에 대해 알아보기
들어가며
파이썬을 처음 배운다면 변수라는 개념이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변수는 프로그래밍의 기본이자
앞으로 어떤 코드를 작성하더라도 반드시 알아야 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변수란?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는
값을 저장하는 이름표입니다.
예를들어 누군가의 전화번호를 저장할 때
홍길동이라는 사람의 이름을 지정한 후에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다음에 검색할 때에는 홍길동으로 검색을 합니다.
여기서 홍길동이라는 이름은 변수이고
전화번호는 값이 됩니다.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
1) 변수를 사용하면 값을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익숙한 엑셀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엑셀에서 A1셀부터 A5셀까지의 합계를
A6셀에 =SUM(A1:A5) 라는 함수식을 사용하여 계산했을 때
다른 곳에서 A1셀부터 A5셀까지의 합계가 필요하다면
A6셀의 값을 불러오기만 하면 됩니다.
심지어 A1~A5셀의 값이 변하더라도
그 합계는 항상 A6셀에 있습니다.
합계가 필요하다면 A6셀의 값을 불러오기만 하면 됩니다.
여기서 A6셀을 변수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코드의 의미를 명확하게 할 수 있습니다.
28이라는 숫자를 사용하는 것 보다
age = 28
과 같이 이름을 붙여서 사용하면
나이라는 의미가 명확해집니다.
이렇게 의미를 명확하게 해 두면
나중에 코드를 수정하거나,
다른 사람이 볼 때도 명확하게 코드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래 코드는 28이라는 숫자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수 없습니다.
print(28)
하지만 아래와 같이 작성하면 28이라는 숫자가 나이를 의미한 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age=28
print(age)
파이썬에서 변수 만들기
앞선 예시에서 간단하게 살펴보았듯이
변수를 만드는 방법은 [ = ]를 사용합니다.
수학에서는 같다는 의미이지만,
파이썬에서는 오른쪽 값을 왼쪽의 변수에 저장한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즉, age = 28의 의미는
오른쪽 값 28을 왼쪽의 변수 age에 저장한다는 의미가 됩니다.
참고로 파이썬에서 같다는 의미는 ==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변수의 이름을 짓는 규칙
파이썬에서 변수를 만들 때에는 몇 가지 규칙을 지켜야 합니다.
가. 영문의 대소문자, 숫자, 언더스코어(_)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 A~Z, a~z, _
나. 첫 글자가 숫자로 시작하면 안 됩니다.
다.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
→ Name과 name은 다른 변수입니다.
라. 한글 변수명도 가능합니다.
좋은 변수 이름이란?
앞서 들었던 예시에서 보았듯이
좋은 변수 이름이란 변수의 이름에서 그 의미를 명확히 알 수 있는 변수의 이름이
좋은 변수 이름입니다.
a = 28
이런 식으로 작성하면 그냥 28을 쓰는 것과 이름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큰 차이가 없습니다.
하지만
age = 28
이런식으로 작성하면 해당 변수가 나이를 의미한 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마치며
변수는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정리하자면,
변수는 항상 의미 있는 이름을 사용할 것.
그래야 나중에 코드를 다시 볼 때,
또는 다른 사람이 내 코드를 볼 때 도움이 됩니다.
변수 이름에 공백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대신 언더스코어(_)를 사용하면 됩니다.
변수의 이름은 한글도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파이썬 책에서는 영어를 추천합니다.
하지만 혼자 사용하는 용도라면 한글 변수도 좋은 선택지라고 생각합니다.
반드시 먼저 선언하고 사용할 것
변수를 먼저 선언하지 않고 사용한다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print(name)
이런 식으로만 사용한다면 name는 아무 값도 없는 변수이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합니다.
아무 값도 없는 변수도 반드시 아래와 같이 선언을 해야 합니다.
name = ""
[ 파이썬 관련 블로그 글 목록 ]
파이썬(Python) 블로그 목록